1. 타당도
*측정의 타당도
(1) 내용타당도
- 측정도구가 잘 대표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되었는지 살피는 것
- 전문지식에 근거하여 판단
- 통계적 검증을 하지 않음
(2) 기준 경험 타당도
- 기준 변수와 측정 도구와의 상관분석 실시
- 동시적 타당도(현재 시점) / 예측적 타당도(미래 시점)
(3) 구성개념 타당도
- 실제로 무엇을 측정하였는가
- 요인분석을 많이 활용
① 수렴타당도(집중타당도) :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어야 함
② 판별타당도 : 상이한 개념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차별성이 나타나야 함
* 표본의 크기가 커진다고 해서 타당도가 향상되는 것은 아님
2. 신뢰도
(1) 신뢰도의 의의
- 측정을 반복했을 때 동일한 측정값을 얻는 가능성
- 측정도구 / 신뢰도와 응답자의 신뢰도로 분류
(2) 검사- 재검사법
- 동일한 대상, 동일한 측정도로 일정 기간 경과(2주~4주) 뒤 측정
- 안정성이 높음
(2) 동형 검사
- 같은 집단, 다른 측정도구, 각기 다른 시기에 실시
(3) 복수양식법 (평행 양식법)
- 동일한 개념, 2개 이상의 상이한 측정도구로 측정
(4) 반분법 (반분 신뢰도)
- 측정도구를 반으로 나누어 각각 독립된 척도로 간주,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
- 스피어만-브라운 공식 = (2X상관계수) / (1+상관계수)
(5) 내적일관성 분석법
- 가능한 모든 반분신뢰도 측정, 그 평균값을 신뢰도로 추정
- 크론바하 알파값 > 0.6 = 신뢰도 있음
3.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
- 타당도 높으면, 신뢰도 항상 높음
- 신뢰도 낮으면, 타당도 항상 낮음
- 그 외엔 알 수 없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