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스터디 다이어리

[사회조사분석사] 시험까지 34일 / 자료 수집 방법

by 쿠루비:-) 2020. 3. 22.
728x90

* 자료의 수집방법별 분류

1. 1차 자료 (직접 조사) : 직접 수집하는 방법

2. 2차 자료

 - 비용, 시간, 인력 등이 효율적

 - 연구자의 방향성 가늠, 다양한 시각에서 정보 수집 가능

 - 1차 자료 이전에 반드시 2차 자료 조사가 선행되어야 함

 

* 자료의 수집방법별 종류

1. 응답자 편견 왜곡효과

 (1) 최근정보효과 : 가장 나중에 본 것이 오래 기억에 남는 효과, 응답지 배치와 관련

 (2) 1차정보효과 : 1번을 선택하려는 효과, 응답지 배치와 관련

 (3) 후광효과 (halo effect)

 (4) 겸양효과

 (5) 동조효과

 (6) 선전편승효과 (bandwagon effect)

 (7) 약자성효과 (underdog effect)

 (8) 테일 앤드 효과 (Tail-End effect) : 중요한 질문을 맨 뒤에 배치하여 발생하는 효과, 질문 배치와 관련

 (9) 습관성 효과 / 무관심 효과

 (10) 맥락 효과 : 유인효과(미끼상품) / 타협효과 / 유사성

 (11) 프레이밍 효과 : 이득은 나누고, 손실은 합하라

 (12) 플라시보 효과

 

2. 질문지법

 (1) 집단조사 : 일정한 장소에 응답자를 모아 놓고, 질문지 배포

 (2) 배포조사 (유포조사) : 집단조사 + 응답에 필요한 시간 부여

 (3) 전화조사 : 조사원이 전화를 매개체로 응답자에게 질문

 (4) 우편조사 : 질문지를 우편으로 발송, 반송용 봉투 첨부, 익명성 보장

 (5) 인터넷 조사 : 인터넷 매체를 통한 조사, 대표성 문제 발생

   - 전자우편조사 / 웹 조사

 (6) ARS 조사 / 스마트폰 조사 / Call-in 조사 / 출구조사

 (7) 응답률 상승방안

   ① 응답 리스트의 최신성

   ② 자발적 참여 독려

 

3. 면접법

 (1) 면접법 의의

   - 조사원과 응답자들이 대면을 통해 언어를 매개체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

   - 내면적인 정보 수집 가능한 장점

 (2) 표준화 면접법 (구조화 면접)

   - 모든 응답자에게 동일한 질문, 동일한 순서로

   - 신뢰도 높음 / 타당도 낮음

 (3) 비표준화 면접법 (비구조화 면접)

   - 정해진 형식 없이 자유롭게 진행

 (4) 반표준화 면접

 (5) 면접조사의 사례

   ① 심층면접법 : 조사자와 응답자가 1:1로 자유롭게 이야기, 탐색적 조사에 많이 이용

   ② 집중면접 : 경험에 관해 집중적으로 질문, 多:

   ③ 임상면접 : 개인의 생활사에 대해 질문

   ④ 표적 집단면접법 (FGI)

 (6) 면접법의 주의 사항

   ① 라포 (래포) : 친근감 형성

   ② 프로빙 : 캐어묻기

 

4. 관찰법

 (1) 관찰법 의의

   - 조사 대상을 통제하지 않고 시각, 청각을 통해 기록

   - 관찰자의 편견 개입 가능성이 있음

 (2) 관찰법의 유형

   ① 참여 관찰법 : 관찰자임을 밝히지 X, 직접 관찰 대상 집단에 참여, 가장 자연스러운 상태의 관찰 가능, 객관성 상실       우려

     - 완전 참여 관찰 : 동화 문제 발생 우려

   ② 비참여 관찰법 : 관찰자임을 밝히지 X, 제 3자적 입장에서 거리 유지, 객관성 유지 용이

     - 객관적인 관찰

   ③ 준참여 관찰법 : 관찰자가 관찰자임을 밝히고 관찰

     - 참여자적 관찰 : 관찰 비중이 높음

     - 관찰자적 참여 : 참여 비중이 높음

 

5. 투사법 : 어떤 자극상황을 만들어 응답자의 반을 보고 우회적으로 파악하는 방법

   - 단어연상법 / 문장 완성법 / 논쟁완성법 / 역할행동법 등

728x90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