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스터디 다이어리

[사회조사분석사] 시험까지 33일 / 측정과 척도

by 쿠루비:-) 2020. 3. 23.
728x90

1. 측정

 (1) 측정의 개념

   - 수치를 부여하는 과정

   - 값을 얻는 과정

   -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가 중요

 (2) 측정의 기능

   - 조화 또는 일치 기능

   - 객관화와 표준화 기능

   - 계량화 기능

   - 반복과 의사소통 기능

 (3) 측정의 구분

   ① 본질 측정 (A급 측정) : 본질적인 법칙에 의해 숫자 부여

   ② 추론 측정 (B급 측정)

    - 확고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측정

    - A급 측정이 선행된 후, 측정되어야 함

 

2. 척도

 (1) 척도의 개념

   - 숫자들의 체계

   - 척도는 하나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다수의 척도로 구성됨

 (2) 척도의 수준에 의한 분류

   질적 척도 : 평균으로 활용 불가능

     - 명목척도 : 등가성

     - 서열척도 : 등가성 + 부등식, 같은 간격을 가지진 않음

   양적 척도 : 평균으로 활용 가능

     - 등간척도 : 서열간 간격이 동일, 절대적인 원점X

     - 비율척도 : 절대적인 원점을 가진 척도를 가지고 수치 부여

 (3) 척도의 구성기법에 의한 분류

   ① 평정척도 : 높은 타당도, 명백한 서열화, 원칙적으로 평균 사용X

   리커트척도(총화평정척도)

     * 리커트척도의 의의

       - 다수로 구성한 하위 문항의 총점으로 응답자의 태도 파악

       - 총점, 평균 등을 활용

       - 5점 척도, 7점 척도 많이 사용

     * 리커트 척도의 구성 절차

       - 연구 문제에 관한 문항 선정 : 긍정/부정

       - 만족/불만족 배치

       - 응답범주 작성

       - 응답자 조사

       - 긍정이 최고점이 되도록 점수 부여 : 역코딩

       - 신뢰도 분석

       - 총점 산출

     * 리커트 척도의 단점

       - 엄밀한 의미의 등간 척도 X

       - 응답자 태도의 강도 무시

   ③ 서스톤 척도(유사등간법) : 다양한 의견 수립 후, 선호성 측정, 일반적으로 11개 범주로 분류

   ④ 보가더스 척도 : 집단간 거리 측정 척도, 예/아니오로 응답

   ⑤ 거트만 척도 : 문항들이 단일 차원에 속하는지 확일할 수 있는 척도

     - 재생 계수(CR) = 1-{오차수/(문항수X대상자수)}

     - 재생 계수가 0.90이상이 되어야 바람직한 거트만 척도

   ⑥ 소시오메트리 : 집단 내 구성원간의 거리 척도

728x90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