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표본추출
(1) 표본추출과정
① 표본추출의 기본 용어
- 연구대상 / 모집단 / 전수조사 / 표집단위
- 표본프레임 : 조사대상들의 정보, 명단 리스트
② 표본틀의 요건
- 포괄성 : 리스트가 너무 작은 경우 결여
- 효율성 : 리스트가 너무 큰 경우 결여
- 추출확률
- 일반성
2. 오차
(1) 오차의 종류
① 표본오차 : 표본조사 시에는 반드시 발생하는 오차
- 영향을 주는 요인 : 분산의 정도 / 표본설계 / 표본의 크기 / 모집단의 특성
- 표본 오차 줄이는 방법 : 오차 범위 제시 / 표본 크기 크게 / 분산 감소 / 연구 목적에 맞춘 설계
② 비표본오차 : 조사과정, 입력과정에 발생
- 체계적 오차 : 패턴이 있음, 타당도와 관련
- 비체계적 오차(확률오차) : 무작위로 발생, 신뢰도와 관련
* 표본 크기가 크면, 표본오차는 줄어들고, 비표본오차는 커짐
3. 표본 설계과정
- 모집단의 범위 결정 → 표본프레임 확보 → 표본 추출 방법 선정 → 표본 크기 결정 → 실태 조사 대상 선정 → 실사
4. 표본추출의 설계
(1) 확률표본추출
- 신뢰도, 타당도 확보
- 표본 리스트가 있는 경우 사용 가능
- 모수 추정이 가능
* 확률표본추출방법
① 단순무작위추출법 (단순무작위표집)
- 난수표 등을 이용하여, 무작위로 선택 = 난선화
- 연구자의 편견 X
- 장점 : 추출 용이 / 사전지식 필요 X
- 단점 : 표본 크기 커야함 / 표본오차 큼
② 계통표본추출 (체계적 표본추출)
- 일정한 순서로 정렬, 표본 수만큼 집단 분할, 첫번째 집단에서 무작위, 일정한 간격으로 선택
- 장점 : 추출 용이
- 단점 : 일정한 패턴이 생길 수 O / 조사자 주관 관여 가능성
③ 층화표본추출법 (층화표집)
- 집단 내 동질 / 집단 간 이질
- 장점 : 모집단의 대표성 보장
- 단점 : 모집단 각층에 대한 정확한 정보 필요
- 분류
비례층화 표본추출(모집단 비율에 맞춰 표본 추출)
비비례층화 표본추출(비율에 상관없이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출)
최적분할비비례층화 표본추출
④ 집락표본추출법 (군집표본추출법)
- 집단 내 이질 / 집단 간 동질
- 장점 : 광범위한 모집단에 적용 가능
- 단점 : 표본수 많아야 함 / 오차가 큼
(2) 비확률표본추출방법
① 편의(임의)표본추출 : 길거리에서 아무나 표본으로
② 판단(유의)표본추출 : 목적에 따라 편중되게 추출
③ 할당표본추출 : 층화집단 선정 후, 작위적으로 조사
④ 스노우볼표본추출 : 작위적 표본 조사 후, 응답자로부터 추천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