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공부내용 : 조선의 통치 체제 정비 / 사림의 성장과 붕당 정치의 성립
《조선 통치 체제의 정비》
1. 조선의 건국
(1) 조선의 건국 과정 : 요동 정벌 추진 → 위화도 회군(1388) → 우왕 & 최영 제거, 이성계 정치 실권 장악 → 신진 사대부의 분화(온건 개혁파 제거) → 과전법 실시(재정 확보) → 조선 건국(1392) → 한양 천도(1394)
(2) 조선 초기의 정책
① 태조 : 정도전의 활약(재상 중심의 정치 운영)
② 정종 : 1차 왕자의 난(무인정사) / 2차 왕자의 난(박포의 난)
③ 태종 : 6조 직계제 / 사병 폐지 & 왕이 군사 지휘권 장악 / 사간원 독립 / 호패법 실시 / 양전 사업 실시 / 신문고 설치 / 주자소 설치 /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
④ 세종 : 왕도정치 구현 노력 / 집현전 설치 / 의정부 서사제 실시 / 조세 제도 정비 / 과학기술 발전(앙부일구, 혼천의, 갑인자 주조) / 4군 6진 개척 / 대마도 정벌(이종무) / 계해약조 체결 / 삼강행실지도·향약집성방·농사직설·의방유취·총통등록·칠정산
⑤ 세조 : 계유정난 / 6조 직계제 / 집현전과 경연 폐지 / 경국대전 편찬 시작 / 진관 체제 실시 / 직전법 실시
⑥ 성종 : 경국대전 완성 / 홍문관 설치 / 경영 활성화 / 사림 등용 / 동국여지승람
2. 통치 체제의 정비
(1) 중앙 정치 조직
① 의정부 : 최고 정무 기구
② 6조 : 정책 집행 담당
③ 3사 : 사헌부(관리의 비리 감찰) / 사간원(정사 비판) / 홍문관(왕의 정책 자문, 경연 주관) → 언론 담당
④ 의금부 : 국왕 직속 사법기구
⑤ 승정원 : 왕명 출납
⑥ 한성부 / 춘추관 / 성균관
(2) 지방 행정 조직
① 행정 구역 : 8도(관찰사) > 부·목·군·현(수령) > 면·리·통(향리 중 선발) → 속현과 향·부곡·리 X
② 유향소와 경재소
- 유향소 : 지방 사족으로 구성(좌수 & 별감), 향촌 자치의 부분적 허용
- 경재소 : 유향소와 정부 사이의 연락 담당
(3) 군사 제도 : 양인 개병제(정군+보인) / 중앙군·지방군·잡색군
(4) 관리 등용 제도
① 과거제 : 법적으로 양인 이상 응시 가능
- 정기 시험(3년마다) / 특별시험
- 문과 / 무과 / 잡과
② 음서 : 고려에 비해 혜택 받는 대상 축소
③ 천거 : 추천
④ 취재 : 하급 실무 관리 선발
(5) 교육제도 : 성균관·4부 학당(한양)·향교(지방)·서원&서당(사립)
《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의 성립》
1. 사림 대두 & 붕당 형성 과정 : 성종, 사림 등용 → 훈구 세력 비리 비판 → 사화 발생(무오사화/갑자사화/기묘사화/을사사화) → 향촌에서 서원·향약 기반으로 세력 확대 → 선조, 사림 정권 장악 → 이조전랑 문제로 붕당형성(동인/서인)
* 1페이지 정리로 흐름 정리
2. 성리학적 사회 질서의 확산
(1) 서원과 향약
① 서원 : 유학자 제사, 학문 연구 역할 / 국가의 사액 서원 지정 → 서원 수 증가
② 향약 : 향촌의 전통적 공동체 조직 + 유교 윤리 → 사림의 지방민 통제력 강화 / 조광조, 여씨향약(4대 덕목) 도입 → 이황 & 이이, 보급 노력
(2) 이황과 이이
① 이황 : '이' 중시 / 영남학파 / 성학십도
② 이이 : '기' 중시 / 기호학파 / 성학집요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