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스터디 다이어리

[한국사능력검정시험] 시험까지 11일

by 쿠루비:-) 2019. 1. 15.
728x90

 

 

■ 공부내용 : 근대 사회 1페이지 정리 /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 / 3·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/ 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

 

《근대 사회 1페이지 정리》​

 

《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》

 

1. 1910년대 일제의 식민 통치 : 무단 통치

(1) 헌병 경찰 통치

① 조선 총독부 : 일본인 군인 출신 조선 총독 / 자문 기구인 중추원 설치(친일파)

② 강압적인 통치 실시 : 헌병 결찰제(즉결 처분권) / 조선 태형령 / 언론·출판·집회·결사의 자유 박탈 / 교육 기회 제한

(2) 1910년대 경제 수탈

① 토지 조사 사업 : 식민 통치에 필요한 재정(지세)확보 → 조선 총독부와 동양 척식 주식회사가 한국 내 최대 지주로

② 회사령 : 민족 자본의 성장 억제 목적

 

2. 1920년대 일제의 식민 통치 : 문화 통치

(1) 민족 분열 통치

① 배경 : 3·1운동으로 국제 여론의 악화 → 통치 체제의 변화

② 내용 : 가혹한 식문 통치 은폐, 민족의 저항과 국제 여론 무마

(2) 일제의 경제 수탈

① 산미 증식 계획(1920~1934) : 일본 내의 쌀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에서 쌀 증산 추진 → 한국의 식량 사정 악화 / 농민의 처치 악화 / 농업 구조 변화

② 회사령 철폐 / 일본 상품에 대한 관세 철폐 / 신은행령 발표 → 일본 자본의 지배 강화

 

3. 1930년대 ~ 1940년대 일제의 식민 통치

(1) 민족 말살 통치(1930년대 이후)

① 대공황 + 일제의 침략 전쟁 확대

② 내선 일체, 일선동조론 (황국 신민화 정책) → 한국인의 침략 전쟁 동원

(2) 1930년대 이후 경제 수탈

① 조선 공업화 정책(북부 지방)

② 남면북양 정책

③ 병참 기지화 정책

④ 국가 총동원법 제정 : 국민 징용령(1939) / 여자 정신대 근무령(1944)

 

《3·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》

 

1. 3·1운동

(1) 1910년대 민족 운동

① 국내 : 독립 의군부(임병찬, 복벽주의) / 대한 광복회(박상진, 공화정 지향)

② 국외 : 남만주(서간도, 신흥 강습소) / 북간도(중광단, 대종교 중심) / 연해주(대한 광복군 정부)

(2) 3·1운동(1919)

①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 / 일본 도쿄 유학생들의 2·8 독립 선언서 발표

② 민족 대표 33인이 종로 태화관에서 독립 선언서 낭독

③ 확대 : 도시 → 농촌 / 평화적 시위 → 무력 시위

 

2. 대한민국 임시 정부

(1) 임시 정부의 수립과 통합

① 연해주의 대한 국민 의회 + 상하이의 임시정부(신한 청년당 중심) + 한성 정부

② 한성 정부의 법통 계승,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 출범

③ 3권 분립의 민주 공화제 채택

(2)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기 활동

① 연통제와 교통국 조직

② 독립운동 자금 모금 : 만주의 이륭양행, 부산의 백산 상회

③ 파리 강화 회의에 독립 선언서 제출(김규식)

(3) 국민 대표 회의와 임시 정부의 변화 : 임시 정부의 활동 침채 → 임시 정부의 개편 요구 → 국민 대표 회의 개최 → 창조파 / 개조파 대립 → 많은 민족 운동가 이탈로 침체 심화 → 이승만 탄핵, 국무령제로 헌법 개정

 

《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》

 

1. 의열 투쟁의 전개

(1) 의열단(1919) : 김원봉, 만주 지린성에서 조직, 김익상 / 김상옥 / 나석주, 조선 혁명 간부학교 설립

(2) 한인 애국단(1931) : 김구, 상하이에서 조직, 이봉창 / 윤봉길

 

2. 1920년대의 무장 독립 전쟁

(1)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

① 봉오동 전투 : 대한 독립군, 홍범도

② 청산리 대첩 : 북로 군정서(김좌진) + 대한 독립군(홍범도)

(2) 독립군의 시련

① 간도 참변(1920) : 봉오동 전투, 청산리 대첩 계기 → 러시아 자유시로 이동

② 자유시 참변(1921)

(3) 독립군의 재정비 : 3부의 성립(참의부/정의부/신민부) → 미쓰야 협정 체결 & 민족 유일당 운동 → 남만주의 국민부 / 북만주의 혁신 의회로 재편

 

3. 1930년대 이후의 무장 독립 전쟁

(1) 1930년대 무장 독립 전쟁

① 한국 독립군 : 북만주 혁신 의회(한국 독립당), 1930년대 중국 관내로 이동, 일부는 한국 광복군 합류

② 조선 혁명군 : 남만주 국민부(조선 혁명당), 양세봉

(2) 1940년대 무장 독립 전쟁

① 대한 민국 임시 정부의 재정비 : 윤봉길 의거 후 충칭에 정착 → 조소앙의 삼균주의에 기초, 건국 강령 발표

② 한국 광복군의 창설과 활동 

 

 

728x90

댓글